가톨릭대학교가톨릭대학교가톨릭대학교가톨릭대학교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교수진

교수소개

안내사항

  • 교수진 정렬 기준 : 학과 교원, JA 교원 순. 본 학과 교원은 학과장, 직위, 입사일, 이름 순서로, JA 교원은 원 소속 학과명, 직위, 입사일, 이름 순서임.
  • JA 교원의 학과 정보는 '원소속 학과'를 기준으로 정렬함.

    * JA(Joint Appointment) 교원은 원 소속 외 겸무 부서(학과, 전공, 교실, 기관)에 소속된 자.

게시글 검색
전체
  • 윤현호 조교수

    Hyunho Yoon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성심관 SH507

    • 연구분야

      종양생물학

    • 연구키워드

      면역항암/ 암의 발생 및 전이 기전 연구/ 항암 타겟 발굴 및 치료제 개발

    윤현호(Hyunho Yoon) 프로필 이미지
    암의 발생 및 전이 기전에 대해 연구하여 암 치료를 위한 신규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연구하고 있음. 담도암의 치료용 항체에 대한 연구로 과학기술연합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박사후 연구원으로 미국의 University of Miami와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에서 7년간 재직하며,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를 기반으로 하는 최신의 sequencing(예: scRNA-seq, scATAC-seq, ChIP-seq 등) 기법과 다양한 암 동물모델을 경험하고 습득하여 난소암, 유방암 및 소화기계통 암의 발생 및 전이 기전을 연구 함. 이를 통해 암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관련 치료제의 효과를 입증하여 여러 국제 논문에 게제 함. 현재, 가톨릭대학교에서 mRNA기반 치료제 분야의 전문 연구진과 협업을 통해 다양한 플랫폼의 mRNA를 제공 받아 연구를 진행 하여 실적을 쌓고 있음.  또한, 면역항암 연구에 암 환자의 샘플 확보의 중요성에 따라 서울성모병원, 세브란스병원, 차병원, 고려대학교 안암병원의 전문의 연구진과 긴밀한 협력·자문 관계를 유지하고 있어 본 연구가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진행 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음.
    My lab focuses on mechanisms of cancer development and metastasis for cancer treatment. After receiving his doctorate in anticancer therapeutic antibodies from the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he worked as a postdoctoral researcher for seven years at the University of Miami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Diego (UCSD). In the United States,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NGS-based technology and various cancer animal models to identify the mechanisms of occurrence and metastasis of ovarian cancer, breast cancer, and digestive cancer. Currentl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we study on mRNA-based therapeutics for cancer therapy. Due to the importance of  cancer patient samples, we collaborate with doctoral researchers at many hospitals. 
  • 김지훈 조교수

    KimJihoon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17

    • 연구분야

      오가노이드 및 줄기세포 생물학

    • 연구키워드

      줄기세포 항상성 조절 질환모델 단백질 분해조절

    김지훈(KimJihoon) 프로필 이미지
    김지훈 교수는 줄기세포분야의 연구를 수행하는 조교수로 네덜란드 Hubrecht Institute에서 단백질 분해 조절에 의한 세포주기 조절에 대한 연구로 세포생물학 및 생화학 관련 박사학위를 수여받았음. 이후 2016년부터 영국 캠브리지 대학교 줄기세포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을 시작하였으며 오스트리아 IMBA 연구소에서 2021년까지 박사후연구원을 지냈음. 박사후연구원 과정 중 오가노이드 및 생쥐 유전학을 활용한 줄기세포의 항상성 조절 및 질병 발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음. 2021년 9월부터 가톨릭대학교 의생명과학과에 조교수로 부임하였으며 한국줄기세포협회의 정회원으로 활동하고 있음. 주요 연구분야는 오가노이드, 동물모델, 세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줄기세포의 항상성 유지와 질병모델링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음. 특히 위, 장, 간, 폐, 자궁내막 등 다양한 기관 관련 오가노이드를 활용하여 기관특이적인 줄기세포의 조절 메커니즘과 유전자 교정을 통한 질병모델링에 관한 연구를 통해 국제적인 수준의 다양한 논문을 발표하였음. 현재 가톨릭대학교 뿐만 아니라 기초과학연구원에 초빙연구위원으로 활동하며 2곳의 연구실을 유지하고 있음.
    Professor Jihoon Kim is an assistant professor conducting research in the field of stem cells. He obtained his Ph.D. in cell biology and biochemistry from the Hubrecht Institute in the Netherlands, where he studied cell cycle regulation through protein degradation control. In 2016, he began his postdoctoral research at the Wellcome-MRC Cambridge Stem Cell Institute at the University of Cambridge, UK, and continued his postdoctoral work at the Institute of Molecular Biotechnology (IMBA) in Austria until 2021. During his postdoctoral research, he investigated the regulation of stem cell homeostasis and disease development using organoids and mouse genetics. Since September 2021, he has been serving as an assistant professor in the Department of Medical and Biological Science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nd is an active full member of the Korean Society for Stem Cell Research. His primary research focuses on the maintenance of stem cell homeostasis and disease modeling through various methodologies, including organoids, animal models, and cellular studies.
  • 곽우리 조교수

    Woori Kwak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성심관 SH506

    • 연구분야

      생물정보학

    • 연구키워드

      유전체 전사체 후성유전체 메타지놈 멀티오믹스 암백신 인공지능

    곽우리(Woori Kwak) 프로필 이미지
    곽우리 교수는 기초부터 응용, 상용화 개발에 이르기까지 연구분야의 제한없이 최근 바이오 연구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생명정보학을 이용하여 복잡한 생명현상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 있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의 NGS를 이용한 유산균 제품 균주 동정 기술, In-silico 기반 감염병 진단 도구 평가 기법등의 국가 표준기술을 개발하였다.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mRNA백신 플랫폼을 활용한 면역항암 치료제 개발을 위해 가장 중요한 개인 맞춤형 항원 및 Epitope개발, 인공지능을 이용한 mRNA 백신 플랫폼 고도화 등의 레드바이오 관련 연구개발을 집중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From basics to commercialization, our laboratory is conducting research to find answers to complex biological phenomena using bioinformatics, which is essential in recent bio research. Our laboratory have developed national standard technologies such as the Korea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Institute's NGS-based lactic acid bacteria product strain identification technology and in-silico-based infectious disease diagnostic tool evaluation technique. Recently, we are developing personalized antigens and epitopes to develop immuno-anticancer treatments using the mRNA vaccine platform, and are focusing on research and development such as optimizing the mRNA vaccine platform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increasing attention. 
  • 박대훈 조교수

    DaehunPark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다솔관 D629

    • 연구분야

      신경생물학

    • 연구키워드

      분자세포신경생물학

    박대훈 교수는 2018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과학과에서 신경생리학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이후 2018년 부터 2023년까지 미국의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에서 신경생물학 분야 대가인 Pietro De Camilli 연구실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활동하였다. 2023년 부터 본교에서 신경의학 연구실을 운영해 오고 있으며, 주 연구 분야는 알츠하이머나 파킨슨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의 발병메커니즘에 대한 규명과 시냅스 전 말단으로도 불리는 Presynaptic terminal에서 일어나는 synapse biology이다.  현재 미국의 Yale University, University of Maine  및 독일의 University of Tübingen 등 해외 유수 연구진과의 활발한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Daehun Park received his Ph.D. in neurophysiology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in 2018. Following that, from 2018 to 2023, he worked as a postdoctoral researcher at the laboratory of Pietro De Camilli, a leading scientist in the field of neuroscience, at Yal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in the United States. Since 2023, he has been running the Neuro Medical Lab here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His main research focuses on elucidating the mechanism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and Parkinson's, particularly at the molecular level. He is also interested in basic synaptic biology to understand neuronal communication mechanisms. Currently, he is actively engaged in international collaborative research with leading researchers from institutions such as Yale University, the University of Main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University of Tübingen in Germany.
  • 김지은 조교수

    Ji-Eun Kim

    • 소속학과

      의생명과학과

    • 연구실

      다솔관 D746

    • 연구분야

      생애초기발달, 장내미생물, 장-뇌 축

    • 연구키워드

      생애초기발달 생체-환경상호작용 줄기세포미세환경 장내미생물 장-뇌축

    김지은(Ji-Eun Kim) 프로필 이미지
    김지은 교수는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을 졸업하고, host-environment interaction에 관심을 가지고 동 대학 자연과학대학의 나노협동과정에서 나노독성학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습니다. 박사 후 연구는 캐나다 토론토대학교 산하 SickKids 병원의 Stem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Department에서 수행하였으며, 장내미생물과 같은 환경요인이 생애초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신호전달 조절 기전 관점에서 연구하였습니다. 특히 장질환과 연계된 장-면역-줄기세포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기초 생물학적 기전을 탐구해왔습니다.
    최근에는 생애초기 장내미생물이 brain-gut axis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고 있으며, 자폐 스펙트럼 장애(ASD) 모델을 기반으로 한 신경발달 및 장-뇌 연계 기전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연구 관심 분야는 실험동물 모델을 통한 생애초기 환경 노출 연구, 장내미생물 및 stem cell niche의 발달생물학적 역할 규명입니다.
    Prof. Ji-Eun Kim graduated from the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earned her Ph.D. in nanotoxicology through the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Nano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College of Natural Sciences at the same university, driven by her interest in host-environment interactions.
    She completed her postdoctoral training at the Stem Cell and Developmental Biology Department at the Hospital for Sick Children (SickKids), University of Toronto, where she investigated how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he gut microbiota, influence early developmental processes through the regulation of cellular signaling pathways. Her research focused on elucidating the fundamental b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gut, immune system, and stem cells in the context of early-life intestinal diseases.
    
    Currently, her research explores how early-life gut microbiota affect the brain-gut axis using experimental animal models. She is particularly interested in studying neurodevelopmental and gut-brain mechanisms us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models.
    Her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early-life environmental exposures using animal models, the developmental biology of the gut microbiota, and the role of the stem cell niche.
  • 정동화 조교수

    Jeong Dong-Hwa

    • 소속학과

      인공지능학과

    • 연구실

      미카엘관(교수동) T908

    • 연구분야

      뇌공학, 의료인공지능

    • 연구키워드

      뇌과학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디지털헬스 웨어러블 의료인공지능

    뇌파를 활용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Brain-Computer Interface) 개발 및 신경 및 정신질환 분석 연구로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2020년부터 가톨릭대학교에서 BRAIN Lab (Biomedical Research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ural Engineering Laboratory)을 운영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과 함께 뇌전증 환자의 뇌파 분석을, KAIST와 함께 수면 뇌파 분석 및 뇌파 기반 로봇팔 제어를 연구하고 있다. 
    또한 시선추적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심리치료, VR을 활용한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웨어러블 생체신호 분석 등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Dong-Hwa Jeong received his Master's and Ph.D. degrees from the Department of Bio and Brain Engineering at KAIST,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brain-computer interfaces (BCIs) and EEG analysis of neurological and psychological disorders. Since 2020, he has been leading the BRAIN Lab (Biomedical Research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Neural Engineering Laboratory) at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Current Research and Research Interests:
    -EEG analysis for epilepsy
    -Sleep EEG analysis
    -EEG-based robotic arm control
    -Digital Psychology using Eye-tracking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using VR and motion tracking
    -Wearable biosignal analysis